티스토리 뷰
[책 쓰기 규칙]
1. 초안은 마구 쓰기다. 일단 자유롭게 마구 쓴 다음에 훗날(다 쓴 다음에) 퇴고한다.
2. 하루 최소 1회, 10분 이상 글을 쓸 수 있도록 노력한다.
3. 특정한 날, 글이 잘 써져도 더 많이 쓰려고 욕심부리지 않는다. 적당량만 쓴다. 습관을 만들어 꾸준히 이어나가는 게 이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책 - 목차로 이동
1. 성장 | ④ 1만 시간의 노력은 싫다 차라리 깔짝거리련다 -5
일단 작게라도 깔짝거리다 보면 점점 그 일이 익숙해진다. 익숙해지면 쉬워지게 되고 재미도 느끼기 마련이다.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나의 경우 글쓰기를 매일 조금씩 꾸준히 해 보기로 마음먹었다. 조금씩이라도 매일 할 수 있다면 언젠가는 1만 시간을 채울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1만 시간을 목표로 하지는 않았다. 그저 매일 조금씩 깔짝거리는 것으로 만족했다. 그런데 그러는 과정에서 글을 쓰는 일이 점점 익숙해지는 것을 느꼈다.
반복된 생각과 행동은 특정 신경망의 동선을 강화시킨다. 뉴런(memo. 추후 수정 때, 뉴런에 관해서도 설명하는 부분을 포함시키기)을 구성하는 신경 돌기의 겉을 여러 겹으로 싸고 있는 인지방질 성분의 막을 미엘린이라고 한다. 미엘린은 뇌 속의 신경섬유를 감싼 지질이 풍부한 물질로서 전선의 피복과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전선 커버가 튼튼하게 감겨 있으면, 전기 신호가 빨라진다. 특정한 학습이나 연습을 반복할수록 해당 신경섬유의 미엘린 두께도 계속해서 두꺼워지는데, 계속 감싸고 두꺼워질수록 신경 전달 속도는 더욱 높아진다. 즉, 지능이 올라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memo.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memo
1. 『아주 작은 습관의 힘』 (행동의 반복 - 정체성 강화) 참고해서 내용 보완하기
2. 『탤런트 코드』 참고해서 내용 보완하기
- 계속 -
생각하고 기존에 쓴 메모를 찾아본 시간 - 10분
글 쓴 시간 - 15분
글자 수 - 공백 제외 406자
'3. 백수의 첫 책 쓰기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 백수의 첫 책 쓰기 프로젝트 (1.성장 | 4-6) (4) | 2023.12.26 |
---|---|
28. 백수의 첫 책 쓰기 프로젝트 (잡담-1) (0) | 2023.12.25 |
26. 백수의 첫 책 쓰기 프로젝트 (1.성장 | 4-4) (0) | 2023.12.23 |
25. 백수의 첫 책 쓰기 프로젝트 (1.성장 | 4-3) (2) | 2023.12.22 |
24. 백수의 첫 책 쓰기 프로젝트 (1.성장 | 4-2) (2) | 2023.12.21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