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오늘은 책 쓰기를 못할 것 같습니다.
고작 10분 쓰는 것조차 못할 것 같네요.
현재 몸 상태가 딱히 좋지 못합니다.
3일 전부터 두통에 시달리고 있고요.
어제저녁부터는 장염에 걸려서 무언가를 하기 힘들 정도로 기력이 없네요.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잡담이라도 쓰는 이유는
글을 써서 포스팅하는 일을 하루라도 빼먹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딱 한 번 빼먹으면, 그게 습관이 되어버리거든요.
습관이 될만한 요소가 있다면 최대한 피해야겠지요.
물론 고작 한 번 빠졌다고 해서 그게 습관이 되는 건 아닐 겁니다.
하지만 저는 나쁜 습관이 자라날 여지도 남기기 싫습니다.
그래서 잡담이라도 써서 올려봅니다.
<3>
잡담이 좋은 이유는 딱히 글쓰기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머리에 열을 올리지 않고 대충 써도 괜찮지요.
그냥 머릿속에 든 생각을 그대로 글로 옮겨 놓는 작업이기 때문에 전혀 괴롭지도 않습니다.
<4>
책 쓰기에 도전하다 보니 재미난 사실을 하나 알게 되었습니다.
책 쓰기라는 활동은 최고의 독서법이더군요.
책을 쓰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참고 도서가 필요합니다.
그 참고 도서를 읽고 제대로 이해해야지 그걸 써먹을 수도 있지요.
그러니 책을 쓰기 위해 하는 독서는 그냥 하는 독서보다 훨씬 더 알찹니다.
내 것으로 만들기에 훨씬 더 유리한 독서법인 것이죠.
<5>
이 사실을 알게 되니깐,
앞으로는 관심 분야가 생기면 그에 관련된 책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출판이 목적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저만의 책 쓰기 프로젝트를 실천에 옮기는 것이죠.
그러면 책을 쓰는 과정에서 관심 분야에 관련된 책을 굉장히 많이 읽게 될 겁니다.
그리고 그렇게 읽고 쓰는 과정에서 훨씬 더 많은 걸 배울 수 있겠지요.
<6>
책 쓰는 작업이 괴로운 부분도 많지만 배우는 점도 확실히 많은 것 같습니다.
책을 출판하고 그렇지 않고를 떠나서, 한 권 쓰기를 완성한다면 분명히 많은 걸 배울 것 같아요.
무엇보다 책 1권을 써봤다는 경험을 얻게 되겠지요.
그 경험은 삶의 무기가 되어 어디서든 힘을 발휘할 수 있게 해 줄 겁니다.
그렇게 쓴 책은 인생의 이력서가 될 것이고, 자기소개서가 되겠지요.
'3. 백수의 첫 책 쓰기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 한 번 멈추면 다시 시작하기 어렵다 (2.고통 | 3-2) (73) | 2024.01.31 |
---|---|
64. 호랑이가 바위 위에 앉아있더군 (2.고통 | 3-1) (79) | 2024.01.31 |
62. 게으름이 지배하는 세상 (2.고통 | 3-뼈대) (4) | 2024.01.28 |
61. 몰입하면 내가 사라진다 (2.고통 | 2-8) (5) | 2024.01.27 |
60. 건강염려증에서 벗어나는 방법 2 (2.고통 | 2-7) (4) | 2024.01.27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