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백수의 첫 책 쓰기 project

65. 한 번 멈추면 다시 시작하기 어렵다 (2.고통 | 3-2)

호당이 2024. 1. 31. 23:31
반응형

[백수의 첫 책 쓰기 프로젝트]

 

게으름이 지배해는 세상

 

 

나의 책 쓰기 규칙

 


 

책 - 목차로 이동

(꼭지글)  2. 고통|③ 게으름이 지배하는 세상 -2

(문제발생 2)

새롭게 시작된 나쁜 버릇은 늦잠이었다. 당시의 나는 월요병을 앓고 있었다. 백수지만 회사 출근 방식을 따르고 있었기에 월요병이 나타났던 것 같다. 나는 주말이 끝나고 평일이 되면 건설적인 활동을 재개해야 한다는 사실에 괴로웠다. 그래서 최대한 회피하려고 했다. 하지만 흐르는 시간은 그 누구도 조절할 수 없다. 주말이 지나면 결국에는 월요일이 오게 되어 있다. 나는 꾀를 내었다. 최대한 늦게까지 버텨보자. 일요일 밤이 되면 잠을 자지 않고 최대한 늦게까지 버텼다. 그렇게라도 주말을 더 길게 유지하고 싶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월요일 새벽을 일요일로 바꾸려고 했다. 새롭게 시작된 월요일 새벽을 일요일 밤처럼 사용한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하면 일요일에 흡수된 시간만큼 월요일이 줄어들게 된다. 잠을 줄여야만 시간을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는 잠을 줄여서 기상 시간을 맞추려고 했다. 그래야 계획한 대로 하루 일과를 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잘 되지 않았다. 잠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나는 기상 시간에 딱 맞춰서 일어나지 못했다. 어찌어찌 기상할 수 있었다고 해도 컨디션이 엉망이었다. 그렇게 월요일 기상 시간이 자주 늦어졌다. 그리고 그것이 반복되면서 어느 순간부터는 월요일 이외의 날에도 늦잠을 자는 경우가 생기기 시작했다.

 

 

늦은 기상은 아침 식사 시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처음에는 식사 시간이 살짝 바뀌는 정도였다. 하지만 늦잠이 잦아지면서 아침 식사를 거르게 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결국에는 수면 시간에 이어 식사 시간까지 불규칙해졌다. 불규칙한 생활 패턴은 건강에도 영향을 미쳤다. 육체와 정신에 염증을 일으켰다. 몸에 통증이 시작되었고, 뇌 안개(Brain fog) 증상이 나타났다. 건강이 나빠지자 생산성도 떨어졌다. 나는 독서와 글쓰기를 점점 등한시하게 되었다. 몸 상태가 좋지 못하니 에너지가 늘 부족했다. 무언가를 열심히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 못했다. 그런 악순환의 반복은 실천력과 끈기력도 사라지게 만들었다. 견고한 일상에 예외의 경우를 한두 번 허용했을 뿐인데 얻은 결과는 참담했다. 나는 나태한 인간이 되어버렸다. 퇴사 이후 6개월 동안 열심히 잘 달리다가, 어이없게 멈춰 섰다.

 

 

(절정 1)

긴장의 고삐를 늦추면 마음이 해이해진다. 그리고 그런 상태가 지속되면 이내 멈추게 된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한 번 멈추게 되면 다시 시작하기가 쉽지 않다. 다시 하겠다는 열정만으로는 안된다. 상당히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기차의 동력은 수천 마력에 달한다. 열차 전체를 끌고 갈 수 있는 충분한 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차가 정지해 있는 상황에서는 아주 작은 저항에도 움직이기가 쉽지 않다. 가령 정지해 있는 기차 바퀴 앞에 쐐기를 밀어 넣으면 기관차는 절대로 출발할 수 없다. 이렇듯 멈춘 상태에서 출발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출발을 돕는 환경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나는 앞서 이야기한 경험을 통해 한 번 멈추게 되면 다시 시작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멈추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단순하다. 육체와 정신이 나약하기 때문이다.

 

 

 

- 계속 -


 

memo

1. 앞으로 써 나갈 내용(중간 정리) // 한 번의 나쁜 행동 허용이 나쁜 습관을 끌어당겼고, 잘 달리던 나를 멈추게 만들었다. 멈춘 상태에서 다시 달려 나가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매번 똑같은 우를 범한다. 결국에는 멈추는 이유가 무엇인가? 육체와 정신의 나약함 때문이다. 그럼 육체와 정신의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바로 환경이다. 나는 환경, 그러니깐 강력한 시스템이 갖춰져 잇지 않기 때문에 늘 똑같은 실수를 범하고, 그 작은 실수로 생활 패턴이 무너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생각하고 자료 찾고 글 쓴 시간 : 130분
글자 수 : 공백 제외 1,170자

 

반응형